완벽하게 겹쳐 상호작용 은하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거대 나선은하가 허블우주망원경에 의해 포착됐다.
유럽우주국(ESA)은 최근 공식 채널을 통해 큰곰자리 방향으로 약 10억 광년 떨어진 나선은하 ‘SDSS J115331.86+360024.2’(통칭 SDSS J115331)와 ‘LEDA 2073461’을 공개했다.
SDSS는 ‘슬론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SDSS)’에 의해 관측된 은하군에 붙는 명칭이다. 다소 생소한 LEDA는 프랑스 리옹 천문대를 활용한 ‘리옹-뫼동 은하계 외 데이터베이스(Lyon-Meudon Extragalactic Database)’에 수록된 은하를 의미한다.
은하들이 중력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상호작용 은하라고 칭한다. 중력 탓에 접근한 은하 양쪽의 모양이 크게 뒤틀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두 은하는 충돌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합체하는 것으로 학자들은 여겨왔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담아낸 ‘SDSS J115331’과 ‘LEDA 2073461’는 얼핏 보면 서로 끌어당겨 충돌하는 상호작용 은하처럼 보인다. 다만 외형의 변화가 없는 점에서 중력의 영향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ESA에 따르면 두 은하는 우연히 겹쳐 보일 뿐 상호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은하는 일반인이 참여하는 천문학 프로젝트 갤럭시 주(Galaxy Zoo)가 실시한 인기투표 결과 선정됐다. 민간 우주 마니아 10만명 이상이 참가한 갤럭시 주를 통해 천문학자들이 아직 조사하지 못한 은하 90만개가 새로 분류됐다. 학자들이 몇 년간 조사해야 가능한 작업을 갤럭시 주는 175일 만에 해냈다.
ESA는 “갤럭시 주 프로젝트는 상호작용 은하로 착각되는 두 나선은하를 비롯, 중력의 영향을 동시에 주고받는 세 개의 은하 등 독특한 천체 현상들을 특정해 왔다”며 “학자들이 연구 가능한 영역과 함께, 민간 우주 마니아들이 참여하는 갤럭시 주 같은 프로젝트가 많아지면 인류의 우주개발이 한층 속도를 낼 수 있다”고 전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상호작용은 착시…희귀한 나선은하 포착 - 스푸트니크::sputnik
Read More
No comments:
Post a Comment